Press Release

‘신선편의’식품 시장 급성장…기술 지원·규제 완화를

신선편의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같은 추세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라는 예측이 우세한 가운데 신선편의식품 시장이 국산 농산물의 대량 소비처로 자리 잡으려면 정부의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경기 평택에 있는 신선편의식품 제조업체 ‘미래원’의 가공공장에서 직원들이 각종 샐러드를 포장하고 있다.


◆신선편의식품 시장 전망 ‘맑음’=주요 신선편의식품 제조업체 중 한곳인 ‘미래원’. 경기 평택시 진위면에 위치한 이 업체는 다양한 종류의 샐러드를 생산해 유명 대형 마트·백화점·식자재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공장을 찾아간 17일, 내부는 무척 분주한 모습이었다. 100명이 넘는 직원들은 양상추·양배추·파프리카 등의 채소를 쉴 새 없이 선별·절단·세척한 다음 ‘양상추+파프리카+닭가슴삵+드레싱’ ‘양배추+당근+비트’처럼 다양한 구성과 용량의 상품을 포장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박종위 미래원 대표는 “5년 전 신선편의식품 사업에 뛰어들었는데, 나날이 시장이 커가는 것을 실감한다”며 “신선편의식품 매출액은 거의 매년 2배 가까이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매년 두배씩은 아니지만 국내 신선편의식품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를 분석해 신선편의식품 시장 규모가 2011년 601억원에서 2015년에는 956억원대 규모로, 5년 새 59%나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흐름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초기 신선편의식품은 단순히 채소를 세척해 절단한 형태의 ‘일차원’ 제품이었지만 요즘은 견과류·닭가슴살·달걀 등 다양한 재료를 혼합한 ‘3차원’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런 제품들의 대거 등장이 맛과 건강을 모두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또 한번에 먹기 좋은 양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간편성은 1인가구와 혼밥족을 사로잡은 요인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과채류의 인기가 상승한 것도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신선편의식품 시장은 아직도 초기 수준”이라며 “그만큼 성장 가능성이 크고, 1인가구·맞벌이가구가 늘어날수록 소비자들의 관심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다각적 지원과 현실적 규제 뒤따라야=농업계와 식품업계는 신선편의식품 시장을 신성장 동력으로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신선편의식품이 다른 가정간편식(HMR) 품목보다 원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이유에서 농업계의 기대가 높다.

이 때문에 신선편의식품 시장이 국산 농산물의 대량 소비처로 안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이를테면 신선편의식품 포장 및 가공기술 개발이나 산지·제조업체·유통업체를 잇는 네트워크 구축, 저리로 농산물 구매자금을 지원하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선편의식품에 적용되는 위생기준이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의견도 귀담아 들어야 한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식품공전에 따르면 신선편의식품의 대장균 허용치는 1g당 10마리”라며 “이 기준은 1g당 100마리 이하로 규정한 영국이나, 원칙적으로 대장균 미검출을 요구하지만 강제가 아니라 지침으로 유연하게 운영하는 일본보다 매우 엄격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의 건강과 먹거리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임에는 동의하지만 현실에 맞지 않는 지나친 규제는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강화되는 식품안전 관련 기준과 더불어 식품제조업체들에게 시설현대화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소규모 업체의 재정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도 업계의 고민과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도모하면서도 농업계와 식품업계가 상생 발전할 방안을 찾아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평택=김난 기자 kimnan@nongmin.com

2017.02.22|